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linux인 게시물 표시

[linux] start faied ssh server service

$ sudo service ssh start  * Starting OpenBSD Secure Shell server sshd sshd: no hostkeys available -- exiting. /etc/ssh 폴더 아래에 ssh_host_* 파일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 $ ls /etc/ssh total 552 moduli        ssh_config            ssh_config.d              ssh_import_id sshd_config   sshd_config.d $ $ sudo ssh-keygen -A ssh-keygen: generating new host keys: RSA DSA ECDSA ED25519 $ ls /etc/ssh/ moduli        ssh_host_dsa_key      ssh_host_ecdsa_key.pub    ssh_host_rsa_key      sshd_config ssh_config    ssh_host_dsa_key.pub  ssh_host_ed25519_key      ssh_host_rsa_key.pub  sshd_config.d ssh_config.d  ssh_host_ecdsa_key    ssh_host_ed25519_key.pub  ssh_import_id $

[링크] 리눅스 서버 구축

* 한국 리눅스 유저 그룹 http://www.lug.or.kr/home/ *리눅스 포털 http://www.linux.co.kr/ 우분투 * 우분투 공식 사이트 http://www.ubuntu.com/ *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http://www.ubuntu.or.kr/ * 우분투 설치하기 http://myubuntu.tistory.com/707 centos * centos 소개 https://lael.be/73 * centos 다운로드 경로 http://www.cmsfactory.net/node/393 기타 리눅스 관련 * 집에서 리눅스 서버 구축 http://moonseller.net/274 * USB로 부팅 리눅스 설치 http://www.linux.co.kr/home/superuserboard/view.html?code=linux&id=13633&start=0&position

linux c++ 개발 환경 지원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ops8582&logNo=90044190292&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 리눅스 개발 환경 구축 http://www.kernel.bz/os/01/os0103.htm  - 리눅스 c 컴파일러및 make 사용법 http://k4425515.egloos.com/2828610  - 리눅스 c 라이브러리

[펌] 리눅스/공유 라이브러리 만들기

http://www.lug.or.kr/docs/LINUX/others/98-11-2.htm  - 공유 라이브러리 만들기 http://iplusu.tistory.com/entry/%EC%A0%95%EC%A0%81-%EB%8F%99%EC%A0%81-%EB%9D%BC%EC%9D%B4%EB%B8%8C%EB%9F%AC%EB%A6%AC-%EB%A7%8C%EB%93%A4%EA%B8%B0  - 정적/동적 라이브러리 만들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jdtjdgus956&logNo=120132746972  - 리눅스 라이브러리 만들기

서버 성능 측정 도구(iperf)

서비스 중인 서버 속도 측정 방법을 인터넷 검색 해보면, 가장 눈에 많이 띄는 검색어는 iperf. 이건 뭘까 하고 찾아봤더니,  (다른 곳에서 측정한 비교값이 필요하긴 하지만), 내가 원하던 것! 프리웨어로 다양한 운영체제(Windows, Linux, MAC 등) 지원이 되고, 전반적으로 검토해 볼만한 것으로 판단. 일반적인 서버, 클라이언트 구성이 사용이 가능. 같은 OS인 경우, 동일한 프로그램을 서버/클라이언트 에 각각 설치 서버/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구조입니다. 단, 사용 포트(기본 포트 5001번)에 대해서는 방화벽에서 해제 필요. (저는 서버에서 ftp passive로 사용중이라 5002번 포트를 사용했습니다.) 1.(리눅스/윈도우 터미널용)서버 실행(서버주소 192.168.1.51) a) 가장 간단하게 -->iperf -s -p5002 b) 좀더 자세히 -->iperf -s -p5002 -w 300k -f M 2.(리눅스)클라이언트 실행 (클라이언트 주소 192.168.1.131) a) 가장 간단하게 -->iperf -c -p5002 192.168.1.51 b) 좀더 자세히 -->iperf -c -p5002   192.168.1.51  -w 300k -f M -t 30 3. (클라이언트)   수행 결과 C:\bin>iperf.exe -c  192.168.1.51  -p5002 ------------------------------------------------------------ Client connecting to  192.168.1.51 , TCP port 5002 TCP window size: 8.00 KByte (default) ------------------------------------------------------------ [1840] local 19...